목록CodeStates/TIL (17)
체대출신 코더의 개발자 성장기

초기의 웹 페이지 백엔드코드의 형태는 모든 코드가 하나로 합쳐진 형태였다. 하나로 합쳐서 꼬일데로 꼬인 코드는 프로젝트 관리를 어렵게 만들었다. 따라서, 사람들은 관리가 쉽도록 코드들을 구분짓기 시작했고, 이러한 구분을 구체화 시켜 MVC패턴, 혹은 MVT 패턴을 만들어 현재 사용중인 것이다. 1. MVT란? - 모델 :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DB에 저장하는 부분을 담당 - 뷰: 모델의 데이터를 적절하게 가공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어 보여주는 역할 - 컨트롤 , 템플릿 : 모델과 뷰를 사용자의 입력과 행동에 반응하여 업데이트 해주는 역할 2. 장고에서 MTV패턴은 어떻게 이용되나요? 1) 웹브라우져 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요청은 장고의 서버로 진입한다. 2) URL Dispatch..
튜플은 내부에 입력한 값을 변화시킬 수 없다. 삭제하거나 추가하려고 하면, error 가 떠버리므로 보기, 읽기의 기능만 제공한다. 원본을 해치지 않는 슬라이싱 서로다른 튜플을 더하거나 곱해서 새로운 튜플을 만들어 내는 것은 가능 하다.
리스트는 자바스크립트에서의 '배열'과 같다. 조금 차이가 나는 부분을 가져오자면 리스트내부의 어떤 요소를 삭제하고자 할 때 del을 이용한다. a = [1,2,3,4,5] del a print(a) #[2,3,4,5] 2. append js에서의 push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3.index js에서 indexOf()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 같음 4. insert(index,value) 리스트의 index 번째에 value값을 넣은 행위를 실행해준다. 5.remove(value) 리스트내부의 첫번째 value 값을 삭제한다. 6. count(value) 리스트 내부에 있는 value의 수를 세준다.
1. 문자열의 길이 len()을 이용한다. a = "python" print(len(a)) #6 2. 문자열 slice 이상 미만의 범위를 가지는 js와는 다르게 이상 이하의 범위를 출력한다. a = "python" print(a[0:2]) # 'pyt' 3.문자열 포매팅 %s 문자열(String) %c 문자 1개(character) %d 정수(Integer) %f 부동소수(floating-point) %o 8진수 %x 16진수 %% Literal % (문자 % 자체) 3-1 . 1개의 문자열 혹은 숫자를 포매팅하기 print("I eat %s apples." % "five") #'I eat five apples.' print("I eat %d apples." % 3) #'I eat 3 apples.' ..
js와는 다르게 변수형을 선언해주지않고 바로 할당한다. a=3 1. 제곱 '**' 을 사용한다. a=2 b=2 c=2**2 print(c) #4 2. 나눗셈 몫 반환 '//'을 사용한다. a=7 b=4 print(7/4) #1.75 print(7//4) #1
월요일 부터 협업을 가는 기업의 백엔드 언어가 '장고'라는 프레임워크를 쓴다하여 급하게 파이썬 공부를 하고 있다.. 장고는 js의 node.js 처럼, 파이썬언어로 서버를 다룰수 있도록 해주는 언어같다. 사실 2년전인가 3년전에 국비지원학원에서 나의 첫 코딩역사를 시작하게 해준 프로그램언어가 '파이썬'이었기 때문에 기대되는점도 없지 않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하나도 기억이 나질 않는다.. 따라서 복습겸 .. 한단원씩 짧게 짧게 적어보면서 공부하려고 한다.
1. 비동기적인 활동(Fetch,Ajax)등은 컴포넌트의 랜더링이 끝난다음(자바스크립트 스택에서 이뤄지는 일), 비동기 큐에서 들어온 순서대로 일을 처리한다. 따라서 CompoundDidMount 의 순서에 비동기적인 활동을 실행시켜주어야 한다. 2. 리액트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중에서 setState는 다음에 무조건 리 랜더링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랜더메소드 내부에서 setState를 실행하게되면 setState => render => setState => render 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StackOverFlow가 일어나게 된다. 3. 검색을 위해 리액트를 사용하기위해 상위State에서 하위 State로 property를 내려줄때는 하위에서 검색해 받은 value값을 상위 컴포넌트로 올려..

1. state state는 풀이하면 '상태'라는 뜻이다. 그러면 React에서의 state는 무슨 상태를 의미일까? 이전 블로깅에서는 component를 상류와 하류 props는 상류에서 하류로 전달되는 물들이라고 비유했다. state는 현재 componenet의 '상태'. 즉,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인자이다. 설명이 모호한가..? 그렇다면 상류에서 하류로 가는 길목마다 댐이 하나씩 있다고 상상해보자 댐에서 하류로 물길(prop)을 내리기전 고여있는 물의 '상태'를 state에 비유할 수 있겠다. 댐이 누군가에 의해 수동적으로 열리기 전 까지는 물의 양이 변하지 않는 것 처럼 state의 상태는 현재의 컴포넌트가 가진 고유한 특성이므로 누군가 바꿔주기 전 까지는 바꿔줄 수 없다. 만약, 바꿔주고 싶다면..